• 2023. 9. 12.

    by. 둥글둥굴

    PCIT는 Sheila Eyberg 박사가 개발한 근거 중심의 행동적 부모훈련 프로그램으로, 부모와 어린 자녀(3~6세)를 함께 참여시키는 프로그램이다. 이 프로그램은 부모가 아동과 상호작용하는 실상황에서 치료사가 부모를 코칭하는 방법을 사용한다. 아동주도 상호작용(CDI)에서는 부모-아동 관계가 향상되도록 전통적인 놀이치료 기술을 배우게 된다. CDI기술에는 칭찬하기, 반영하기, 따라 하기, 묘사하기, 열정적이기 그리고 선택적으로 관심 보이기가 포함된다.

     

    PCIT 주요 특성

     

    구조화된 세션: PCIT는 구조화된 세션 형태로 진행된다. 각 세션은 명확한 목표와 계획을 가지며, 부모와 아이는 특정한 양육 기술과 전략을 학습하고 연습한다. 이러한 체계적인 구조는 학습 과정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. 긍정적인 강화: PCIT에서는 긍정적인 강화가 핵심 개념 중 하나이다. 부모는 아이의 원하는 행동을 보상하고 감사의 표시를 통해 긍정적인 행동을 촉진하며, 부정적인 행동을 감소시킨다. 이러한 접근법은 부모와 아이 간의 관계를 강화한다. 비디오 기록 및 피드백: PCIT에서는 부모와 아이의 상호 작용을 비디오로 기록하고, 치료자는 이 비디오를 분석하여 부모에게 피드백을 제공한다. 비디오 피드백은 부모에게 자신의 행동을 관찰하고 개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. 양육 기술 습득: PCIT는 부모에게 어린 자녀를 효과적으로 양육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기술을 가르친다. 이러한 기술은 아동의 행동 문제를 관리하고 긍정적인 부모-자녀 관계를 증진하는 데 도움이 된다. 효과적인 의사소통: PCIT는 부모에게 효과적인 의사소통 방법을 가르친다. 이를 통해 부모는 아이와의 상호 작용을 개선하고 갈등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. 두 단계 접근: PCIT는 일반적으로 두 단계로 구성된다. 첫 번째 단계에서는 부모가 기본적인 양육 기술을 습득하고 상호 작용을 개선하는 방법을 배우며, 두 번째 단계에서는 특정한 아동의 행동 문제를 다루는 방법을 학습한다. 연구에 기반한 치료: PCIT는 많은 연구에서 효과적임이 입증된 치료 방법 중 하나이다. 특히 어린 자녀의 행동 문제를 다루는 데 효과적이며, 장기적인 결과를 제공한다.

     

    PCIT를 사용하여 다룰 수 있는 몇 가지 주요 행동

     

    적응행동 문제: 아이가 새로운 환경이나 변화에 적응하기 어려워하는 경우, PCIT는 아동의 적응 능력을 향상시키고 신뢰감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. 폭력적 행동: 폭력적인 행동, 끈질기고 공격적인 행동에 대한 대응 방법을 개선하고 폭력 행동을 감소시키는 데 PCIT를 활용할 수 있다. 언어 및 의사 표현의 부족: 언어 발달 문제나 의사 표현 능력 부족을 다루는 데 PCIT를 사용하여 언어 및 의사소통 기술을 향상할 수 있다. 분노 발작: 아이의 분노 발작이나 감정 조절 문제를 다루기 위해 부모에게 효과적인 대응 전략을 가르치고 연습시키는 데 PCIT가 도움을 줄 수 있다. 천식과 같은 건강 문제와 관련된 스트레스: 아동이 건강 문제로 인한 스트레스를 겪고 있는 경우, 부모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아동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대응 전략을 제공할 수 있다. 무시 행동: 아이가 부모의 지시나 요청을 무시하는 행동을 다룰 때, PCIT는 효과적인 의사소통 및 관리 전략을 가르친다. 안정성 문제: 아이가 안정성 문제로 인해 위험한 행동을 보일 때, PCIT는 부모가 아이를 안전하게 감시하고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는 방법을 가르쳐줄 수 있다. 학습 및 집중력 문제: 학습 및 집중력 문제를 다루는 데 PCIT를 사용하여 학습 습관을 개선하고 학업 성과를 향상할 수 있다. 친사회적 행동 문제: 아동이 사회적 상황에서 어려움을 겪는 경우, PCIT는 친사회적 기술을 향상해 사회적 관계를 개선할 수 있다. 처벌적 행동: 아이가 부적절한 처벌적 행동을 보이는 경우, PCIT는 부모에게 효과적인 행동 관리 전략을 가르쳐주고 긍정적인 강화를 강조하여 원하는 행동을 촉진한다.

    '부모교육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    아동주도 상호작용 역할놀이  (0) 2023.09.18
    아동주도 상호작용  (2) 2023.09.13
    반응적인 부모에 대한 재고찰  (0) 2023.09.10
    반응적인 훈육  (0) 2023.09.07
    반응적인 확장  (0) 2023.09.05